wget http://people.netfilter.org/peejix/geoip/tools/csv2bin-20041103.tar.gz - tar xvfz csv2bin-20041103.tar.gz - cd csv2bin - make wget http://www.maxmind.com/download/geoip/database/GeoIPCountryCSV.zip - unzip GeoIPCountryCSV.zip - mv GeoIPCountryWhois.csv csv2bin/ - cd csv2bin - chmod 755 GeoIPCountryWhois.csv - ./csv2bin ./GeoIPCountryWhois.csv - geoipdb.bin geoipdb.idx 파일 2개 생성 - mv geoipdb...
-rw-r--r-- 1 root root 32209 2009-06-22 16:38 install.log 허가권 / 링크수 / 소유자 / 소유그룹 / 크기 / 최종 변결 날짜 / 이름 허가권 파일종류 - : 파일 d : 디렉토리 파일작성자 / 그룹 작성자 / 기타 사용자 r : read w : write x : execution - : 각 권한에 대한 거부 chown -R takakocap kensei chown takakocap.takakocap kensei chown takakocap kensei chmod ugo+rxw kensei u : 파일 작성자 g : 파일 작성자 속한 그룹 o : 기타 그룹 400 : 파일 소유자 읽기 200 : 파일소유지 쓰기 100 : 파일소유자 쓰기 40 : 그룹 사용자..
패키지는 확장자가 RPM임 rpm - q : 패키지 설치되어 있는지 확인 - e : 패키지 없애기 - i : 패키지 설치 - U : 패키지 업데이트 rpm -qa : 시스템에 설치된 모든 패키지 검색 rpm -Uvh 패키지이름 - 패키지 설치하기 YUM - RPM기반 패키지 업데이트 도구 /etc/yum.conf cachedir : 패키지 저장소에서 캐시파일과 데이터베이스 파일을 저장해 두는 디렉토리 logfile : yum 을 사용하면서 생기는 로그파일 distroverpkg : yum을 다룰 패키지 종류 결정 gpgcheck : 저장소에서 패키지를 불러올때 cfg 서명을 확인할건지 결정 plugin : YUM을 도와줄 플러그인 프로그램을 사용할건지 여부 결정 특정패키지를 받고 싶을땐 yum.conf ..
SAMBA 소용량 많은 파일 전송에 유리 yum install samba samba-common cups-libs or yum install samba* 기본 설정 vim /etc/samba/smb.conf # samba가 자원의 공유를 정의하는 설정 부분 [global] # 언어셋 맞춤 unix charset = cp949 dos charset = cp949 display charset = cp949 # 삼바가 참여할 작업그룹 이름 지정 (윈도우즈 작업그룹과 같이 참여가능) workgroup = WORKGROUP # 삼바 서버를 설명하기 위한 지시자 윈도우즈의 '컴퓨터 설명' 이라보면 됨 server string = kensei stream server # 접근아이피 설정, 대역으로도 설정 가능 hos..
grub 패스워드 설정 [root@localhost ~]# grub grub> md5crypt Password: ************* (패스워드 지정) Encrypted: $1$VQVVI/$IlGMSaUFh37MxfdWJTTL6. (← 요거 복사해서) vim /etc/grub.conf (아래와 같이 넣어주면 grub 패스워드가 지정된다) hiddenmenu password --md5 $1$VQVVI/$IlGMSaUFh37MxfdWJTTL6 title SULinux Server (2.6.18-92.el5PAE) 리부팅 메인화면에서 grub 설정 grub 초기화면에서 C 누르고 grub> root (hd0,1) 리눅스 루트파티션 지정 grub> kernel /boot/vmlinuz-2.6.18-92.el..
NFS (Network File System) 대용량 파일 전송 유리 다른 호스트의 파일시스템의 일부를 자신의 디렉토리처럼 사용하게 해주는것 nfs 패키지 확인 rpm -qa portmap rpm -qa nfs-utils 설치가 안되어 있으면 yum install portmap nfs-utils portmap & nfs 실행 ※. portmap 부터 실행 /etc/init.d/portmap start /etc/init.d/nfs start nfs 공유디렉토리목록 설정파일 /etc/exports /home XXX.XXX.26.11(rw,all_squash) 공유할 파티션 접근할 클라이언트(옵션) op) rw : 읽기, 쓰기 가능 ro : 읽기만 secure : 클라이언트 마운트 요청시 포트를 1024 이하..
1. 좀비 프로세스 찾기 - ps -aux | grep defunct - ps -aux | grep Z 2. pstree를 이용해 좀비 프로세스의 엄마 프로세스 찾기 - pstree -pu -H [좀비 PID] | more - 트리형태의 프로세스 구조가 보이고 해당 좀비의 프로세스 트리가 하이라이트로 되어 있다. 3. kill 로 강제종료 - kill -9 [좀비 엄마 PID] 좀비가 프로세스의 엄마가 httpd 였는데 그냥 아파치 재시작 하니 좀비가 말끔히 사라짐
/var/log/message 에서 아래와 같이 출력이 되는데 Dec 8 13:28:34 kernel: nf_conntrack version 0.5.0 (16384 buckets, 65536 max) Dec 8 13:28:34 kernel: CONFIG_NF_CT_ACCT is deprecated and will be removed soon. Please use Dec 8 13:28:34 kernel: nf_conntrack.acct=1 kernel paramater, acct=1 nf_conntrack module option or Dec 8 13:28:34 kernel: sysctl net.netfilter.nf_conntrack_acct=1 to enable it. vim /etc/sysctl.co..
quota (디스크 공간 할당) 시스템과 파일의 수와 용량을 제한함으로써 특정 사용자의 자원 독점을 막을수 있음 UUID=79f82482-5792-469f-b318-9e37b0ab319d /home ext3 defaults,usrquota 1 2 - usrquota : 사용자 별로 쿼터 설정 - grpquota : 그룹별로 쿼터 설정 - 두옵션을 함께 사용하는것도 가능함 - 적용하려면 리부팅 하거나 해당 파티션을 umount 했다가 다시 mount 하자! [root@localhost /]# mount /dev/sda10 on /home type ext3 (rw,usrquota) ; quota 지정된것을 볼수 있다 touch /mnt/sda10/quota.user ; 빈파일 생성 chmod 600 /mnt..
- Total
- Today
- Yesterday
- NGINX
- SSL
- IPSEC
- centos8
- galera
- pptp
- virtualbox
- iptables
- yum
- ssh
- kvm
- cURL
- WAF
- ntp
- gitlab
- mariadb
- GeoIP
- softether
- HAProxy
- centOS7
- L2TP
- 베이어다이나믹
- 인증서
- glusterfs
- 리눅스
- Apache
- OpenVPN
- php
- MySQL
- mod_security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