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elnet 서비스를 하고 있을때 telnet localhost getaddrinfo: localhost Name or service not known Connection closed by foreign host. 메세지가 출력된다면 hostname이 없거나 틀린경우임.. vim /etc/hosts 파일을 열어서 오른쪽 라인에다가 호스트 네임 추가해준다... 127.0.0.1 localhost localhost.localdomain localhost (HOSTNAME 추가)
아래 메세지의 경우 Apr 4 16:55:03 kb1 kernel: Buffer I/O error on device sde1, logical block 184Apr 4 16:57:48 kb1 kernel: sd 4:0:0:0: Unhandled error codeApr 4 16:57:48 kb1 kernel: sd 4:0:0:0: SCSI error: return code = 0x00040000Apr 4 16:57:48 kb1 kernel: Result: hostbyte=DID_BAD_TARGET driverbyte=DRIVER_OK,SUGGEST_OK sde 하드디스크 교체했으나 동일한 에러 발생 증상은 한번씩 CMOS나 OS에서 한번씩 인식불가하면서 리부팅하면 다시 인식하는 증상 메인보드와 하드디스크..
파티션 확인 [root@localhost ~]# fdisk -l 기존파티션Disk /dev/sda: 500.1 GB, 500107862016 bytes 255 heads, 63 sectors/track, 60801 cylinders Units = cylinders of 16065 * 512 = 8225280 bytes Device Boot Start End Blocks Id System /dev/sda1 * 1 13 104391 83 Linux /dev/sda2 14 1160 9213277+ 82 Linux swap / Solaris /dev/sda3 1161 60801 479066332+ 83 Linux 추가한 하드는 아래와 같이 출력Disk /dev/sdb: 2000.3 GB, 200039893401..
No space left on device 에러 메세지 특정 데몬이 시작되지 않고 로그에 아래 메세지 출력되는 경우 발생 아래는 rsyslog 및 apache 시작시 나오는 메세지 touch: cannot touch `/var/lock/subsys/rsyslog': No space left on device (28)No space left on device: httpd: could not open error log file /etc/httpd/logs/ssl_error_log. Unable to open logs df -Th 로 디스크 용량 확인시 용량은 충분히 남아 있는 상태 리눅스는 i-node 로 파일들이 관리되므로 [root@localhost ~]# df -i Filesystem Inodes IU..
리눅스 로그들 (로그를 볼때 cat, vim 는 적합하지 않다 실시간으로 생성되므로 tail 명령어가 적합) /var/log/boot.log 리눅스가 부팅될때 나타나는 메세지 기록 /var/log/cron 시스템 cron 에 대한 로그 /var/log/message 커널에서 보내주는 실시간 로그 (시스템에서 실시간으로 생성되므로 가장 많이 보는 로그중의 하나임) /var/log/secure 시스템 접속에 관한 로그파일 (언제, 누가, 어디에서 접근했는지에 대한 로그가 남아있음) /var/log/xferlogftp 로 로그인하는 사용자에 대한 로그를 기록하는 파일 a : 아스키 파일b : 바이너리 파일C : 압축 / U : 비압축 / T : Tar archiveo : outgoing / i : ingoin..
mingetty : 콘솔 로그인 입력 기다리는 프로세스 (여러개가 떠 있는 이유는 로그인이 틀리거나 그냥 엔터 칠 경우 계속 자식 프로세스 생성후 계속 응답대기) root 1587 0.0 0.0 1728 440 tty2 Ss+ Nov12 0:00 /sbin/mingetty tty2 root 1589 0.0 0.0 1728 440 tty3 Ss+ Nov12 0:00 /sbin/mingetty tty3 root 1590 0.0 0.0 1728 440 tty4 Ss+ Nov12 0:00 /sbin/mingetty tty4 root 1591 0.0 0.0 1724 436 tty5 Ss+ Nov12 0:00 /sbin/mingetty tty5 root 1593 0.0 0.0 1728 436 tty6 Ss+ Nov..
리눅스 언어셋 UTF-8 (unicode 유니코드) UTF-8 유니코드를 위한 가변 길이 문자 인코딩 방식의 표준 유니코드 세계 각국의 언어를 통일된 방법으로 표현할 수 있게 제안된 국제적인 코드 규약의 이름이다. 8비트 문자코드인 아스키(ASCII) 코드를 16비트로 확장하여 전 세계의 모든 문자를 표현하는 표준코드이다. UTF-8 개요 컴퓨터가 최초에 영어권국가 에서 만들어져 문자를 표기할때 전세계 각 나라들은 자기나라의 문자를 표현하기 위해 나름대로의 독자적인 변환을 하여 사용해야 했습니다. 이러한 방법을 인코딩이라고 부릅니다. 우리나라는 한글을 표기하기 위해 EUC-KR라는 인코딩을 사용하였고,일본은 Shift-JIS,중국은 GB2312,대만은 Big5,우크라이나는 KOI8-U..등등 결국 지구상..
- Total
- Today
- Yesterday
- NGINX
- glusterfs
- HAProxy
- iptables
- virtualbox
- IPSEC
- php
- cURL
- centOS7
- softether
- centos8
- Apache
- SSL
- kvm
- yum
- WAF
- L2TP
- pptp
- GeoIP
- mariadb
- 리눅스
- MySQL
- ntp
- 인증서
- mod_security
- OpenVPN
- galera
- ssh
- 베이어다이나믹
- gitlab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