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구글 google 이 타임서버 제공함
단순 클라이언트 동기화
ntpdate 설치
yum install ntpdate
시간동기화
[root@localhost ~]# ntpdate time.google.com
28 May 16:13:41 ntpdate[3397]: adjust time server 아이피 offset 0.005256 sec
하루?에 한번? crond 스케줄러에 등록하면 될듯? 하다
내 서버를 ntp 서버 로 구성할때 ntp 서버를 구글꺼로 이용하기
서버가 많은 경우 자기 서버 1대를 NTP-Server 로 구성해놓고 다른 서버들을 동기화 하는것이 속도면? 에서 좋을듯...
다른 타임서버의 경우 많이 접근하는 경우 refues 되는 경우도 있으니
검색해보면 ntp 관련 취약점이 많이 나오니 가상서버로 해서 ntp 하나만 돌리는게 안전? 할듯?
아무리 동기화 해도 1번씩 시간 어긋나는건 안비밀
ntp-server 설치
yum install ntp
설정
vim /etc/ntp.conf
server time1.google.com iburst
server time2.google.com iburst
server time3.google.com iburst
server time4.google.com iburst
restrict 접근가능하게 할 아이피
ntp 재시작
service ntpd restart
출처
https://developers.google.com/time/
다른 타임서버들 보다 잘 될지는 운영해봐야 할듯...
글로벌 기업 타임서버라 믿고 쓰는건 안비밀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CentOS7 - rsync 3.1.2 (0) | 2019.06.17 |
---|---|
ntp pool project (0) | 2019.06.05 |
nginx conf 설정 (0) | 2019.05.17 |
nginx - php-fpm 연동 (0) | 2019.05.16 |
telnet 통신 테스트 (0) | 2019.04.02 |
댓글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 Total
- Today
- Yesterday
링크
TAG
- cURL
- centOS7
- php
- virtualbox
- pptp
- ntp
- 베이어다이나믹
- NGINX
- iptables
- OpenVPN
- galera
- Apache
- GeoIP
- HAProxy
- WAF
- 인증서
- yum
- ssh
- L2TP
- IPSEC
- kvm
- glusterfs
- gitlab
- MySQL
- mod_security
- centos8
- mariadb
- softether
- 리눅스
- SSL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글 보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