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Filesystem

RAID (레이드)

CHOMAN 2018. 8. 21. 18:59

RAID 종류

raid 0 (stripe)

백업없음, 속도 빠름

raid 1 (mirror)

최소 디스크 : 2개 이상  
최대 용량 : (디스크 수 / 2) * 디스크 용량  
파일은 모든 디스크에 각각 저장되며 모든 파일은 중복

장점 : 안전, 단일 디스크에 비해 읽기 성능이 같거나 좋음

raid 2 : 더 이상 사용되지 않음

raid 5 (패러티가 있는 stripe) 패러티를 순환시키는것 없이 각 어레이에 접근

최소 디스크 : 3개 이상
최대 용량 : (디스크 수 - 1) * 디스크 용량
RAID4 처럼 데이터의 블럭은 모든 디스크에 나뉘어 저장, 향상 균등하지 않고 패러티 정보도 모든 디스크에 저장

장점 : 지원하는 회사가 많음, 한개의 드라이브가 고장나는것을 허용함

raid 3 (패러티를 사용하고 디스크를 병렬 처리)

최소 디스크 : 3개 이상  
최대 용량 : (디스크 수 - 1) * 디스크용량

단점 : 잘 사용되지 않음

raid 4 (각 디스크는 패리티 블록을 공유)

최소 디스크 : 3개 이상

최대 용량 : (디스크 수 - 1) \* 디스크용량

모든 파일은 블럭으로 쪼개지고 각 블럭은 여러 디스크에 저장, 균등하지는 않음

raid 6 (패러티가 2개 있는 stripe) : 각 디스크에 패러티 정보가 두 번 독립적으로 분산

최소 디스크 : 3개 이상

최대 용량 : (디스크 수 - 2) * 디스크 용량

raid 10

0 (stripe) 를 한 후 1 미러링

최소 4개의 하드디스크
1 (미러링) 을 한 후 0 스트라이프
raid 1 구성후 다시 raid 0 구성  
raid 0 성능과 raid 1 의 미러 결합

실제 셋팅해본것

베이 2개 RAID 1, 베이 4개 RAID 10,
베이 8개 안정성 RAID 6, RAID 50, RAID 60, 퍼포먼스가 중요하다 생각하면 RAID 10
RAID 구성하더라도 별도의 2차, 3차 백업은 꼭 필요함

'Filesystem' 카테고리의 다른 글

nfs mount glusterfs  (0) 2018.08.27
glusterfs 설치  (0) 2018.08.27
map reduce  (0) 2018.08.21
XFS  (0) 2018.08.21
btrfs  (0) 2018.05.29
댓글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링크
«   2025/04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글 보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