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우리가 흔히 사용하는 PING 명령어를 좀 더 알아보자
PING은 ICMP(Internet Control Message Protocol)을 사용한다.
- 네트워크 상태를 전달해주는 일종의 '도와주는 프로토콜'
Ping (packet internet groper) 명령어 사용 목적
- 상대방 컴퓨터, 네트워크장비, 서버 까지 통신이 잘되는 확인하는 명령어
- 패킷이 그 장비에 도달하는데 걸리는 시간을 알수 있음
Request timed out 라고 나오는 원인 or Destination Unreachable or time Exceeded or Redirect
- 케이블 연결이 잘못되었거나
- 상대방의 IP주소가 잘못되었거나
- 상대방 컴퓨터가 꺼져있거나
- 상대방 컴퓨터가 인터넷 연결이 안되어 있거나
TTL expired in transit
- 목적지에 도착하기 전에 TTL값이 0으로 되어버린상태
- 목적지로 가는 길이 꼬여있다고 볼수(?) 있다.
TTL (Time to live)
되돌아오는 핑값
: 라우터를 지날때 마다 1씩 감소 (루프를 방지하기 위한 방법)
- 유닉스 계열 : 255
- 윈도우 계열 : 128
ex) Reply from 100.100.100.100 : TTL expired in transit (기본값이 : 255)
- 255번째 라우터에 도달하면 (TTL expired in transit) 메세지 출력
같은 네트웍 대역에서 PING 체크 (정확하지 않지만 어느정도 예측은 가능하다고 볼수 있겠다)
ex) ping 리눅스 서버 아이피
- 64 bytes from xxx.11.xxx.xxx: icmp_seq=2 ttl=63 time=0.108 ms (TTL 이 63)
ex) ping 윈도우 서버 아이피
- 64 bytes from xxx.11.xx.11: icmp_seq=2 ttl=128 time=0.126 ms (TTL 이 128)
option)
-t : Ctrl + c로 중단시키기 전까지 계속 ping 보여줌
-a : IP주소에 대한 호스트 이름을 보여줌
-n count : 핑 패킷을 몇번 보낼지 패킷수를 지정한다
-l size : ping 패킷 크기를 지정한다 (64Kbyte = 65527바이트까지 가능)
-l ttl : 중간의 라우터장비를 몇번 경유할지를 지정
-f or k : 패킷이 게이트웨이에서 나누어지지 않게 할때 사용
( 패킷에 Don't Fragment flag지정), 중간에 더 작은 패킷을 지연하는 장비가 있다면 라우터는 그 패킷을 버리고
송신자에서 목적지에 도달할수 없음을 통보 )
고급옵션
ping -v TOS주소
- IP헤더의 Type of service필드를 Tos에서 지정한 값으로 설정
ping -r count주소
- 카운터에 지정한 횟수만큼의 라우터 경로 표시 (count는 1-9까지 지정 가능)
ping -s count주소
- count에 지정한 홉의 수에 관한 타임스템프 출력 (count 1-4까지 지정 가능)
ping -j 리스트주소
- 리스트의 컴퓨터를 통해서 패킷의 경로를 정할때 사용
ping -k 리스트주소
- j옵션과 같은 기능이지만 역속적인 컴퓨터의 중간 게이트 구분을 할수 없음
ping -w 시간 주소
- 지정한 시간만큼 초과시간 간격지정 (단위는 초)
참고사이트
http://kin.naver.com/detail/detail.php?d1id=1&dir_id=10302&eid=bCTdklqjcAGXg6Vzji6QdV1f4IWXq/X9&qb=ZXhwaXJlZCBpbiB0cmFuc2l0
|
'Network' 카테고리의 다른 글
네트워크 루핑 (looping)이 발생될때 서버는 어떤 로그를 남기는가? (0) | 2015.04.23 |
---|---|
HPING (hping3)설치 및 사용 (2) | 2015.04.16 |
MPLS (Multiprotocol Label Switching) 개념 정리 (0) | 2015.04.15 |
quagga (Dynamic routing protocol) (0) | 2015.03.27 |
D-LINK DIR 850L 공유기 리뷰 (0) | 2015.02.28 |
- Total
- Today
- Yesterday
- 리눅스
- ntp
- HAProxy
- softether
- pptp
- WAF
- IPSEC
- gitlab
- SSL
- 베이어다이나믹
- virtualbox
- mod_security
- php
- MySQL
- 인증서
- OpenVPN
- yum
- L2TP
- ssh
- centOS7
- cURL
- iptables
- glusterfs
- mariadb
- GeoIP
- kvm
- galera
- centos8
- Apache
- NGINX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