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Linux

apache 기본 개념 정리

CHOMAN 2015. 6. 12. 11:03

Apache


Include conf/extra/httpd-vhosts.conf
- /usr/local/apache/conf/extra/http-vhost.conf 에 있는 파일을 사용할려면 주석해제

<Directory "/home/*">
AllowOverride All
Options +ExecCGI
Order allow,deny
Allow from all
</Directory>
- /home 디렉토리에 홈페이지 RootDocument 가 있을때 삽입

443포트 접근안될시
vi /usr/local/apache/conf/ssl.conf
- VIRTUALHOST 설정하는 부분에 아이피 대신 * or 443 넣어준다

443포트 접근안될시2
<virtualhost *.443>
serveralias kensei.co.kr:443 ← 443을 적어주게 되면 이미 위에 443이 명시가 되어 있는데 또 명시가 되어 있다
이렇게 하면 https://kensei.co.kr:443 을 찍어야 페이지가 열리게 되므로 443을 지워준다



아파치 설치시 컴파일된 모듈 살펴보기 (정적 모듈) : static

- /usr/local/apache/bin/apachectl -l

[root@localhost ~]# /usr/local/apache/bin/apachectl -list
Compiled in modules:
core.c
mod_authn_file.c
mod_authn_default.c
mod_authz_host.c
mod_authz_groupfile.c
mod_authz_user.c
mod_authz_default.c
mod_auth_basic.c
mod_include.c
mod_filter.c
mod_log_config.c
mod_env.c
mod_setenvif.c
mod_version.c
mod_ssl.c
worker.c
http_core.c
mod_mime.c
mod_status.c
mod_autoindex.c
mod_asis.c
mod_cgid.c
mod_negotiation.c
mod_dir.c
mod_actions.c
mod_userdir.c
mod_alias.c
mod_rewrite.c
mod_so.c



컴파일 된 설정 내역 보기

[root@localhost ~]# /usr/local/apache/bin/apachectl -V


DSO 방식으로 설치된 모듈들은 아래 경로에 존재 혹은 httpd.conf 에 LoadModule 로 명시되는 모듈

[root@localhost bin]# ls /usr/local/apache/modules/
httpd.exp libphp5.so mod_rpaf-2.0.so mod_security2.so mod_unique_id.so



로드된 모듈 리스트 확인

[root@localhost ~]# /usr/local/apache/bin/apachectl -M


가상호스트 설정 내역 확인 (그냥 conf 나 vhost 파일을 찾는것도 나쁘지 않을듯)

/usr/local/apache/bin/httpd -S


아파치 설정파일 구문 검사

/usr/local/apache/bin/apachectl -t

Syntax OK 뜨면 정상


DSO와 static 의 개념

DSO
Apache 의 모듈을 동적으로 추가하거나 제거 가능함 (모든 기능을 DSO로 한다면 커져서 다소 느려질수 있음)
꼭 필요한 기능만을 컴파일 하며 많이 쓰지 않는 기능들은 모듈방식으로 컴파일 하여 필요할때 로드하여 사용
동적으로 링크된 심볼릭을 찾아서 로드하므로 static에 비해서 상대적으로 반응속도 느려짐

[root@localhost httpd-2.2.15]# ./configure --help | grep enable 하여 출력되는것들은 기본적으로 적재가
되지 않는 모듈

[root@localhost httpd-2.2.15]# ./configure --help | grep disable 하여 출력되는것들은 기본적으로 적재가
가능한 모듈


DSO 방식으로 모듈 컴파일 하기

--enable-mods-shared=all 기본적으로 적재가 되는 모든 모듈이 DSO 방식으로 적재되며

--enable-모듈명 으로 추가된것들도 DSO 방식으로 적재됨


특정 모듈만 DOS로 컴파일 하기

--enable-mods-shared="모듈이름" 이 구분은 한번만 쓸수 있음 .. space 로 구분하여 모듈이름을 나열




static으로 적재하기

기본적으로 적재되는 모듈들이 DSO 방식으로 적재 되지 않는다면 자동으로 static으로 적재됨

기본적으로 적재 되지 않지만 static 으로 적재하기 위해서는 --enable-모듈이름 으로 나열


기본적으로 적재되는 모듈을 제외할때에는 --disable-모듈이름 을 해주면 됨


외장모듈을 DSO로 추가 적재할수 있게 하기 (ex. php, perl, mod_cband)
--enable-so 모듈을 적재해야함

기본적으로 적재가 되는 모듈이 DSO 방식으로 적재가 되지 않는다면 static으로 적재됨

 

log 디렉토리에서 삭제하지 말아야할것들

 

cgisock.숫자형식
httpd.pid


댓글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링크
«   2025/02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글 보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