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실제 리얼서버에서 추가해 주실 명령어는 아래 3줄만해주시면 됩니다.
weakhostreceive=disabled, weakhostsend=disabled 이기때문에 아래와 같이 enabled 로 변경해 주시면됩니다.

나머지는 윈도우2003설정사항과 같습니다.


도스창에서 아래와 같이 입력


로컬 영역 연결 - WAN 회선이 연결된 인터페이스의 이름 " 로컬 영역 연결" 로 시작하는 이름을 가진다.

loopback 인터페이스의 이름 "로컬 영역 연결 11" 요런식으로 이름을 가진다.

 

인터페이스 이름의 유념해서 입력한다 첫째는 이더넷 인터페이스를 지칭 아래 2개는 루프백 인터페이스를 지칭함

netsh interface ipv4 set interface "로컬 영역 연결" weakhostreceive=enabled 
netsh interface ipv4 set interface "loopback" weakhostreceive=enabled
netsh interface ipv4 set interface "loopback" weakhostsend=enabled

 

 

인터페이스 네임은 아래 그림과 같이 네트워크 연결 했을때 나오는 해당 장치명을 넣어주시면 됩니다.

 




 

실제 명령어 CMD 입력


netsh interface ipv4 set interface "로컬 영역 연결 10" weakhostreceive=enabled

netsh interface ipv4 set interface "로컬 영역 연결 11" weakhostreceive=enabled

netsh interface ipv4 set interface "로컬 영역 연결 11" weakhostsend=enabled 

 

위와 같이 입력한 윈도우즈 인터페이스


 

 




설정값을 확인하는 명령어는 아래와 같다.

 

C:\Users\Administrator>netsh interface ip dump
# ----------------------------------
# IPv4 구성
# ----------------------------------
pushd interface ipv4

reset
set global icmpredirects=enabled
add route prefix=0.0.0.0/0 interface="로컬 영역 연결2" nexthop=116.125.30.225
set interface interface="Loopback Pseudo-Interface 1" forwarding=enabled advertise=enabled nud=enabled weakhostsend=enabled weakhostreceive=enabled
set interface interface="로컬 영역 연결2" forwarding=enabled advertise=enabled nud=enabled weakhostreceive=enabled
set interface interface="loopback" forwarding=enabled advertise=enabled nud=enabled weakhostsend=enabled weakhostreceive=enabled
add address name="로컬 영역 연결2" address=116.125.30.254
add address name="로컬 영역 연결2" address=192.168.15.254
add address name="loopback" address=116.125.30.227

 

popd
# IPv4 구성 끝

 

참고로 윈도우 2003에서는 기본적으로 weakhostreceive=enabled 이기 때문에 따로 설정해주실필요는 없습니다.
그리고 이 값은 직접 설정할수가 없습니다.

 

netsh interface ipv4 set interface "로컬 영역 연결" weakhostreceive=enabled
netsh interface ipv4 set interface "로컬 영역 연결 3" weakhostreceive=enabled
netsh interface ipv4 set interface "로컬 영역 연결 3" weakhostsend=enabled


루프백 인터페이스 장치추가


장치관리자에서 수동으로 추가



  

'LAYER 4 & 7' 카테고리의 다른 글

프록시 (proxy) 종류  (0) 2015.06.11
haproxy log  (0) 2015.06.11
L4 스위치 Alteon 3408E 스펙사항...  (0) 2015.06.04
heartbeat 설치 및 운영  (0) 2015.06.04
L7 부하분산 개념  (0) 2015.06.04
댓글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링크
«   2025/02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글 보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