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파티션

 

파티션

설명

주파티션

기본파티션이며 HDD는주파티션과 확장파티션을 합하여 4개까지의 파티션을 나눌수 있다

확장파티션

확장파티션은 저장공간이 없으며 그 안에 논리파티션을 만들 수 있도록 커다란 그릇 역할만을 한다

확장파티션은 하나만 만들 수 있음

논리파티션

4개이상의 파티션을 사용해야 할 경우 확장파티션 안에 논리디스크를 만들어 사용

최대12개까지의 파티션 생성가능

 

 

 

파티션표기

 

파티션

윈도우즈 파티션

리눅스파티션

주파티션

주파티션

(C영역)

확장파티션

논리파티션

(D, E....)

hda1, hda2, hda3 (sda1,sda2,sda3)

확장파티션

hda4

논리파티션

hda5, hda6. hda7......

 


Low Level Format : 로우레벨 포맷
- 디스크의 모든 입출력은 섹터 단위 (작은 블록) 로 이루어 지므로 하드디스크에서 섹터를 물리적인 단위로 구분하는 작업
- 요즘출시되는 하드디스크들은 로우포맷이 된 상태로 출시되므로 할 경우가 거의 없음
 
파티션
- 하드디스크의 첫번째 섹터에 파티션 정보가 저장된 파티션을 주파티션이라 함
- 주파티션 3개 + 확장파티션1개
- 확장파티션 1개에 논리파티션(12개까지)이 여러가 들어가게 됨
 
FAT (File Allocation Table)
- DOS와 윈도우95
- Cluster 단위를 사용 (파일 저장할때 최소 단위)
- 한개의 파일이 저장되더라도 최소한 한개의 클라스터를 차지하게 됨
- 560MB : 클러스트 크기 16KB가 된다 (1KB 를 저장할때도 16KB 사용하게 됨) : 저장공간의 낭비
- 2GB 이상 인식할수 없음
 
FAT32
- Linux에서 대표적으로 사용함
- FAT의 문제를 보완
- 8TB까지 하나의 파티션으로 사용가능 
 
 
END


댓글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링크
«   2025/02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글 보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