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IT 에서 가용성 (availability)
가용성
|
: 그래프는 이해하기 어렵다
서비스가 다운되지 않고 정상적으로 유지된 시간으로 이해하면 됨
uptime(정상 서비스 시간) / uptime + downtime(총 서비스 시간) = 가용성 |
참고
가용성으로 나올수 있는 값은 0~1 사이 숫자 (소수자리 포함) 높을수록 가용성이 높다는 의미 주로 백분율화 하여 * 100 을 하여 표기함, ex) 99.5%, 100% 이런식으로 표현함 |
IT 서비스업이라면 고객에게 제공하기로 한 시간에서 실제 서비스가 제공된 시간
(서비스 지속시간)
1년을 기준으로 계산하는게 보다 정확한 계산이 될것이다.
uptime + downtime (총 서비스 시간)
1시간 = 60분 1일 = 24시간 = 1440분 1달 = 30일 = 43200분 1년 = 12달 = 518400분 |
1년 동안 서비스장애 누적시간 60분, 작업시간으로 인한 서비스 단절 30분 = 총 90분
uptime (서비스가 정상적으로 동작한 시간)
518400 - 90 = 518310분 |
가용성 계산
518310 / 518400 = 0.999826389 0.999826389 * 100 = 99.982638889 |
가용성 = 99.982638889 %
자료 참조 및 이미지 출처
위키백과 http://ko.wikipedia.org/wiki/%EA%B0%80%EC%9A%A9%EC%84%B1 |
'Security'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하트블리드 (heartbleed) 취약점 (0) | 2015.04.13 |
---|---|
sha256 해시 암호화 (웹) (0) | 2015.04.01 |
DHC - REST/HTTP API Client (from Chrome 웹 스토어) (0) | 2015.03.31 |
ZmEu 해킹시도 접근 (0) | 2015.03.30 |
방화벽 감사 체크 사항 (0) | 2015.03.30 |
댓글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 Total
- Today
- Yesterday
링크
TAG
- 리눅스
- NGINX
- WAF
- kvm
- php
- softether
- IPSEC
- ssh
- iptables
- virtualbox
- SSL
- centos8
- HAProxy
- cURL
- gitlab
- Apache
- L2TP
- galera
- GeoIP
- yum
- mariadb
- ntp
- mod_security
- 베이어다이나믹
- centOS7
- glusterfs
- OpenVPN
- pptp
- 인증서
- MySQL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글 보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