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PLS (Multiprotocol Label Switching) 개념 정리
MPLS (Multiprotocol Label Switching) 정의 ip 주소 대신 MPLS 라벨을 참조하여 패킷을 전송 하는 기술 (빠르다) IP 헤더 참조하지 않고 바로 레이블 참조하여 처리하므로 빠르다는 의미 라벨의 위치는 Layer2 - Layer3 사이 (Layer 2.5 라고도 불려지는듯) 주요 용도 MPLS VPN 구성과 MPLS TE (Traffic Engineering)에 사용됨 MPLS VPN 특징 사전에 설정된 경로간에만 트래픽 전송 허용 (다른 사용자와 트래픽이 완전 분리): 전용선이라고 봐도 무방할듯 하다 MPLS 망은 인터넷과 분리된 망이며 인터넷과 MPLS 망의 혼합사용도 가능 " 외부 --> MPLS 내부 / MPLS 내부 --> 외부 " 간 함부로 통신할 수 없음 " M..
Network
2015. 4. 15. 17:41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 Total
- Today
- Yesterday
링크
TAG
- 리눅스
- ntp
- HAProxy
- L2TP
- MySQL
- gitlab
- GeoIP
- 인증서
- SSL
- kvm
- mariadb
- mod_security
- ssh
- WAF
- yum
- softether
- php
- centOS7
- centos8
- cURL
- IPSEC
- pptp
- virtualbox
- Apache
- galera
- NGINX
- iptables
- OpenVPN
- 베이어다이나믹
- glusterfs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글 보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