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inetd 데몬과 연동해서 하던 rsync 가 Cent7에서는 좀 바뀐듯 함설치yum install rsyncrsync 서버 설정 (Centos7)vim /etc/rsyncd.conf (설정파일) uid = notify gid = notify use chroot = yes max connections = 20 pid file = /var/run/rsyncd.pid log file = /var/log/rsyncd.log transfer logging = yes timeout = 45 hosts allow = 192.168.10.0/24 read only = no reverse lookup = no [test] path = /home/testrsync 데몬 실행systemctl enable ..
리플리케이션 하는 이유 읽기 부하 분산 (슬레이브) 데이터 분석 (슬레이브) 백업지원 (슬레이브) * 마스터에 영향을 주지 않고 슬레이브에서 백업하기 위함 (안정성?) 데이터 분산 (마스터에 연결하지 않고 로컬에서 작업)MariaDB 10.0 introduced replication with global transaction IDs. These have a number of benefits, and it is generally recommended to use this feature from MariaDB 10.0. 마리아DB 10버전 이후부터 GTID 라는것을 지원하는데 사용하는것을 추천한다고 함 마스터와 슬레이브간 버전이 다를때 마스터의 버전이 낮은것 (older) 을 권고 계속 리플레케이션을 연결할..
LSYNCD 실시간 파일 동기화 유틸, 리눅스 전용, RSYNC 와 연동하여 같이 구동함 LSYNCD 홈페이지 https://axkibe.github.io/lsyncd/ 원본서버 (lsyncd) --> 복사서버 (rsyncd.conf, xinetd) 원본서버 작업 yum install lsyncd -y Inotify 파일 시스템을 감지하는 커널모듈 확인 [root@localhost ~]# grep -i inotify /boot/config-`uname -r`CONFIG_INOTIFY=yCONFIG_INOTIFY_USER=y Inotify 설정 (디렉토리가 8000개 넘어가는 경우는 파일 동기화가 되지 않았다.) cat /proc/sys/fs/inotify/max_user_watches8192 위 기본값 ..
- Total
- Today
- Yesterday
- ssh
- SSL
- glusterfs
- WAF
- virtualbox
- php
- pptp
- MySQL
- centOS7
- mariadb
- NGINX
- GeoIP
- cURL
- mod_security
- kvm
- gitlab
- L2TP
- HAProxy
- iptables
- galera
- 인증서
- softether
- OpenVPN
- ntp
- centos8
- yum
- IPSEC
- 베이어다이나믹
- Apache
- 리눅스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