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etwork

TCP/UDP 프로토콜 기본 개념

CHOMAN 2015. 6. 12. 10:46

TCP (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 연결지향적, 데이터전송을 보장, 두 종단사이에 연결이 먼저 확립(3way handshaking)
- 메세지를 세그먼트로 나누고 목적지 스테이션에서 재조립하며 수신되지 않은것을 재전송 하여 세그먼트를   재조립하여 메세지로 만듬
- 종단간의 가상회선을 제공한다
- 주로 FTP, HTTP, SMTP, DNS를 ip로 연결해주는 역활
- 에러정정과 흐름제어 지원, 신뢰성이 뛰어난 반면 헤더의 크기가 상대적으로 길어 다소 느린 단점
ex) 전화 : 상방간에 전화기를 들어야지만 통화가능하다

UDP (User Datagram Protocol)
- 비연결형이며 ACK가 없는 프로토콜, 메세지전송하는 책임가지고 있지만 세그먼트배달에 관하여 검사하는 기능 미제공
- 데이터 전송을 보장하기 위해 상위계층 프로토콜에 의존한다
- 그 자체적으로 신뢰성을 보장하지 않기 때문에 응용프로그램이나 시스템에서 신뢰성 있는 환경 구축후 사용

  헤더의 크기가 상대적으로 작아 속도가 빠른 장점
- 주로 DNS, TFTP, RIP를 ip로 연결해주는 역활
ex) 우편 : 편지를 우체통에 넣음으로써 상대방이 있든 없든 전달한다

※ TCP와 UDP는 포트번호를 이용하여 상위계층으로 전달한다